내 나이 어언 50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이 시점에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니긴 한데.. 평생 "치매만 안걸렸으면 좋겠다, 남들보다 일찍 죽어도 좋으니 언제 죽을지 대충 아는 병이었으면 좋겠다, 그게 시한부 선고라 할지라도.." 같은 말을 입에 달고 살았는데 가장 거리가 먼 병에 걸려버렸다.
현대 의학의 발전 이전에 왜 인간의 수명이 40세 언저리였는지 생각을 하다보면 꽤 그럴싸한 결론에 도달한다. 번식을 하고 그 자손이 다시 번식을 할 수 있기까지 양육을 하는 두 번의 생식 싸이클에 약간의 마진을 더하면 그게 40년 언저리가 아니었을까.
정비소에 가도 "부품 생산이 중단돼서 이제는 유상 수리든 무상 수리든 수리가 안돼요. 이차는 원래 그런 차니 감안하고 타세요." 소리를 듣고 돌아나올 수밖에 없는 시점. 그나마 운이 좋아서 부품 교체가 필요없는 병이면 더 사는 거고.
해서, 40을 넘기면서부터 생기기 시작하는 각종 지병들이 어떻게든 현대 의학의 도움으로 생명 연장이 가능한 병이라면 다행인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저런.. 안됐네.. 요새 세상에 환갑도 안되었는데 그렇게 가다니..."의 사례가 되는 게 아닌가 싶다. 급사하듯 암이나 기타 질환으로 병사하는 비슷한 나이 또래 선후배들이 많이 드물지는 않게 종종 눈에 띄기 시작하기도 하고... 아 이래서 40대도 생애전환기에 끼워주나보다.
나는 그동안 내가 막 살아도 유전자 뽑기를 잘 해 건강한 줄로만 알았는데 대충 40까지는 그래 너도 그때까진 살아야지 하면서 몸뚱아리가 알아서 커버를 쳐 줬던 것이었나보다. 내 혈관도 40 전에는 탄력이 살아있어서 안터지고 버텨줬나보다. 어려서부터 관리하며 살았으면 좀 더 나았을까 싶긴 한데 뭐 큰 차이가 있었으려나.
나이를 먹으면서 전보다 운동을 열심히 해도 최대심박수는 점점 낮아만 지는 것처럼 그냥 2세의 2세 생산이 응당 끝났을(끝나야했을) 나이라서 성능이 줄어드는 것 아닌가 싶다. 종의 입장에서는 어차피 40을 넘겨서까지 살려둘 이유가 없지 않은가. ㅎㅎ
그래도 더 살고 싶냐 하면.. 물론 아직은 그렇긴 한데..
거기에 대해서는 좀 더 복잡한 생각을 하게 되는 바, 거기에 대해서는 따로 생각을 정리해서 적어봐야 겠다.
'일상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속혈당측정기 (0) | 2025.03.09 |
---|---|
베이글이 아닌 어떤 것을 파는 그 빵집 (0) | 2024.03.10 |
파묘 관련 잡담 (0) | 2024.03.03 |
아무것도 장담하지 않기로 했다 (0) | 2023.12.10 |
나이를 먹어서 친구를 사귄다는 것 (0) | 2020.04.28 |